본문 바로가기
교육학 및 교육 정보

좋은 수업을 위한 교사의 전문성

by KEI-C 2022. 6. 23.
반응형

  수업 전문성은 교사가 지니는 정적인 속성이 아니며 끊임없이 학습 과정을 통해서 개발되어야 하는 속성입니다. 그래서 교사들은 학기 중에도 방학 중에도 자기 연찬을 위하여 끊임없이 연수받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다루려고 하는 수업 전문성의 기준은 일종의 '좋은 수업'을 정의하는 교수 기준(Teaching standards)으로서, 모든 교사에게 적용되는 지식과 기술을 정의한다는 부분에서 일반적 기준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2.06.23 - [교육학] - 수업의 정의와 좋은 수업의 조건


교사의 수업 전문성 기준은 '좋은 수업과 그렇지 않은 수업', '효과적인 수업과 그렇지 못한 수업'을 구분하는 일종의 잣대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수업의 설계나 관찰, 분석 활동 시 관찰 관점으로 적용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예비 교사들의 마이크로 티칭 면접을 볼 때, 면접관들이 수업을 평가하는 관점도 아래에서 제시하는 기준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않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좋은 수업'을 한다는 것은 단지 교실이라는 무대에서 '멋진 연기'를 하는 것 이상의 노력과 학습, 실천 및 반성이 요구됩니다. 교사의 지식이 충분하지 않으면 바람직한 수업 설계가 어렵습니다. 당연히 그 수업 실천의 질 또한 크게 기대할 수 없습니다. 

이에 서울특별시교육연수원이 '수업 전문성 향상 과정'에서 제시한 15가지 수업 전문성의 기준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제시한 21가지 기준을 비교 제시 해 보려 합니다. 

좋은 수업을 위한 교사의 전문성


수업 전문성 기준(15기준)

 

  • 수업 관찰 분석 능력
  • 교수 분석 능력
  • 교육과정 구성 능력
  • 수업 운영 능력
  • 학습 동기 능력
  • 학습 목표 진술 및 제시 능력
  • 발문/질문 수행 능력
  • 피드백 제공 능력
  • 교과서 활용 능력
  • 판서(설명, 요약, 제시) 능력
  • 교수 매체 설계, 개발, 활용 능력
  • 교수 기법 구사 능력
  • 교수 평가 능력
  • 교수 설계 능력
  • 개별화 학습 운영 능력

수업 전문성 기준(21기준)

  • 내용 지식의 이해
  • 내용 및 오개념 인지
  • 구조화된 수업 전개와 효율적인 시간 관리
  • 명료한 의사소통 및 적절한 언어 사용
  • 유연한 상황 대처
  • 유의미한 학습 활동 및 과제 수행
  • 사전지식 활성화와 동기 유발
  • 학습 목표 설정 및 진술
  • 효과적인 질문 사용
  • 이해를 촉진하는 모니터링 및 피드백
  • 효과적인 자료 활용
  • 이해와 사고를 촉진하는 수업 전략
  • 교사의 수업 반성
  • 일관성 있는 수업 설계
  • 학생 이해(발달, 인지 학습, 개인차)
  • 안전하고 효율적인 물리적 환경
  • 생동감 있는 학급 분위기와 학습 문화 조성
  • 효율적인 학급 운영과 학생 지도
  • 동료 교사와의 협력
  • 학부모와의 협조
  • 전문성 발달 노력

  수업 전문성에 대한 방향은 같지만, 두 기준을 비교해 봤을 때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의 21 기준이 수업을 더 넓은 의미로 해석한 느낌입니다. 

 

수업 상황에서 교수 학습 전략은 수업 전반에 걸친 수업 내용과 과정을 어떻게 사용할 것이냐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말합니다. 교수 학습 전략은 교수와 학습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되는 구체적인 방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좋은 수업을 위한 교수 학습 전략이란, 다름 아닌 교사들이 학자들에 의해 제안되어진 수업 전문성 요소에 대해서 전문성을 발휘하기 위한 부단한 노력의 결정체인 것입니다. 수업이 가진 가변성과 구체성 때문에 교사가 대면하는 수업 상황이 매년, 매일, 매시간 같을 수 없을 뿐더라 수업 전문성은 특정 시점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진보하고 끊임없이 신장되는 것입니다. 

 

 

반응형

댓글